현행과 같은 Socio-Technical System에서 사고예방을 위하여 시스템 적 사고, 안전-II, 안전탄력성 등과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기존의 재해예방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기존의 안전관리 수단에서 시스템적 안전관리 수단으로 예방 접근법의 확대를 통한 사고예방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기존의 안전관리와 시스템적 안전관리 비교]
구분 | 기존의 안전관리 | 시스템적 안전관리 |
이론적 배경 |
- 안전-I - 구조적 접근(Structural approach) - 기술적 솔루션 |
- 안전-II - 기능적 접근(Functional approach) - 조직 전체의 안전탄력성 |
안전의 정의 |
-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 | - ‘원하는 업무를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역량’ |
주요 Focus |
- 사고 - 정적위험요소(Static risk) - 작업 결과 - 조직의 완성도 및 R&R - 시설, 기술, 제도, 문서 |
- 일상 작업 - 동적위험(Dynamic risk) - 작업과정 및 작업변동성 - 기능(Function)의 충족성 및 연결성 - 예방역량(관찰·대응·학습·예측) |
방법 (수단) |
- 독립, 분절된 점검, 교육, 측정 - 작업 특성적 위험성 평가, 안전 활동 - 조직체계 구축, 활동 실적 파악 |
-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 - 인지적 위험성 분석과 위험의 변동성 관리, 안전 탄력성 증진과 평가 - 작업자 및 팀의 적응력 제고 |
피드백 | - 지속적 개선(PDCA) - 지표관리( 사고 등 후행지표 중심) |
- 진화하는 시스템 구축, 유지관리 - 변화 대응적 장·단기 플랜 - 지표분석(선행지표, 안전탄력성) |
사고발생 원리를 탐구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의 이론적 기초는 위험을 찾아 고치는 하인리히의 도미노 모델에서 출발하여, 일하고 있는 시스템 속에 있는 인간의 인지역량(Cognitive ability), 기술 및 조직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에 기인하는 작업의 변동성에서 해결책을 찾는 시스템적 사고모델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100년 전 단순·선형적 예방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대형 생산 현장의 속성인 높은 복잡성과 결합밀도에 기인하는 사고를 해결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절차를 지키지 않는 작업자의 오류 또는 기술의 실패가 사고원인이라는 프레임에 매몰되어 있다.
이러한 세기 전 접근방법으로는 사고 발생 결과로 원인을 들여다보면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가 극명해 보이는 후향편견(Hind–sight bias)적 오류에 빠져나올 수 없으며 그 이면에 있는 근원적 의문에는 어떠한 답도, 해결책도 제시할 수 없다.
사고를 보는 관점의 변화를 통해 “사고는 우리 공정(조직)에 항상 잠재해 있는 다수의 잠재 요소들의 변동성이 상호중첩·간섭·공명되어 해당 시스템의 안전경계를 넘는 경우”라는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고 발생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바탕으로 기업의 예방 전략, 정책, 생산 체계(구조) 및 프로세스, 생산수단 및 도구, 작업자들의 인식 등의 시스템적 취약점에 대한 분석과 진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여러 시스템요소들이 상호 보강되는 사고예방 전략의 개발과 프로그램의 마련 및 시스템적 안전역량 증진이 요구된다.
2024년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 시행으로 많은 기업이 사고 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기회로 안전보건업무에 많은 경험이 있는 일선관리자들에게 기존의 기술 중심의 예방 수단 한계를 극복하고 실효성 높은 산업재해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을 추구하는 역량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
연번 | 학과 | 성명 | 직위 | 학위 |
1 | 보건환경안전학과 | 갈원모 | 교수 | 공학박사 |
2 | 보건환경안전학과 | 이명구 | 교수 | 공학박사 |
3 | 보건환경안전학과 | 고영림 | 교수 | 이학박사 |
4 | 보건환경안전학과 | 함은구 | 교수 | 공학박사 |
5 | 보건환경안전학과 | 배계완 | 교수 | 공학박사 |
1) 안전 : 시스템안전, 기계안전, 건설안전, 소방방재
2) 보건 : 산업보건, 유해물질 독성평가
학술 대회 참석, 전공분야 현장 견학 및 세미나 참석, 전공분야 연구, 학부생 실습조교 등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술사 등
안전보건분야 전문기관⋅진단기관⋅인증기관⋅검사기관⋅교육기관,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 공무원 등